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충남도 청년정책 아이디어…중앙정부 정책 반영 성과

  • 부제목
    - 수능 이후 고3 청년 대상 청년정책 설명회 제공 제안 교육부 수용 -
  • 제공일자
    2025-05-09
  • 담당자
    이**
  • 제공부서
    청년정책관
  • 전화번호
    041-635-3982
  • 구분
    보도
  • 첨부파일
    • 250509_충남도 청년정책 아이디어…정부 정책 반영 성과(청년정책관).hwp내려받기
  • - ‘온통청년’ 플랫폼 국민비서 연계…맞춤형 정책정보 푸시 알림 제공 -
    - 청년정책 자료관리 권한 확대 등 4건 정책 제안 중앙정부 수용 -

    충남도가 자체 개발한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 ‘온통청년’이 중앙정부 정책에 공식 반영되며, 청년정책 분야의 정보 접근성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도는 최근 국무조정실 주관 제24차 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책임관 회의에서 ‘온통청년’ 플랫폼의 기능 고도화를 위한 건의가 공식 수용됐다고 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온통청년’을 통해 수집된 정책정보를 국민비서 푸시 기능과 연계해 전국 청년들에게 맞춤형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정부 정책에 반영됐다.

    이는 기존의 수동적 정책 검색에서 벗어나, 청년이 직접 정보를 찾아보지 않아도 자동으로 필요한 정책이 전달되는 능동형 정보 전달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한다.

    앞으로는 △‘25년 달라지는 주요 청년정책’ △지역 청년 행사 △청년참여 기회 안내 등 다양한 정보가 국민비서를 통해 알림 형태로 제공될 예정이다.

    도는 또한 정책 제공 시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온통청년’ 기초지자체 자료 입력 권한을 광역지자체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정부로부터 수용받았다.

    이를 통해 도는 도내 전 지역의 청년정책 정보를 일괄 취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남성연 도 청년정책관은 “온통청년은 단순한 정보 모음 플랫폼을 넘어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을 쉽고 빠르게 전달함으로써 정책 체감도를 높이고 있다”라며 “지난번 청년기업 수의계약 한도 상향 건의 중앙정부 수용에 이어 이번 중앙정부의 수용은 청년정책 홍보 효과를 전국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이 외에도 △청년참여 위원회 지정 관련 평가 기준 개선 △수능 이후 고3(예비청년) 대상 정책 체험 프로그램 도입 등 총 4건의 정책 제안이 정부에 의해 수용되며 청년정책 혁신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앞으로도 정부24와 연계한 청년정책 알림서비스 확대, 청년친화도시 지정 확대 등 청년정책 발전 방향에 대해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갈 방침이다.
OPEN,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기사는 "공공누리" 제 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담당부서 : 공보관
문의전화 : 041-635-4919

* 본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게재된 내용의 수정 또는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담당 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